「새만금갯벌 생명평화연대」로 거듭난 새만금연대활동 환경과 공해 39호 (2001년 6월) 「새만금갯벌 생명평화연대」로 거듭난 새만금연대활동 이수경(환경과 공해연구회 사무국장) 새만금갯벌생명평화연대(이하 생명연대)는 2001년 3월 19일 발족하였다. 생명연대는 그간 새만금사업에 반대해온 환경단체, 지역단체, 종교계의 비공식적인 연대회의를 공식화한 것으로, 실질적인 활동은 수년 전부터 계속된, 새만금사업 반대의 중심기구이다. 생명연대는 다른 환경연대기구와는 달리 환경단체보다는 오히려 불교, 천주교 등 종교계가 연대의 구심점을 이루고, 환경단체가 실무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생명연대가 발족되면서 '새만금사업 반대'로 시작된 연대활동의 목표는 '새만금 갯벌 살리기'로 바뀌었다. 이러한 목표 설정의 변화는 작은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 새만금 연대의 이념.. 더보기 핵재앙과 인간의 실수 환경과 공해 35호, 1999년 11월 핵재앙과 인간의 실수 이 수 경(사무국장) 세기말의 위협이 실감나는 것은, 모모한 예언들이 아니고 하루가 멀다하고 들려오는 지진, 지역분쟁 그리고 비행기나 핵발전소 등의 사고 소식 때문이다. 아직도 계속되는 지진의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한 대만과 터키에서 지진이 그토록 위협적일수 있었던 것은 고층화, 밀집화된 생활양식의 변화와 이러한 위험에 취약한 주거환경에 걸맞은 안전의식의 부재 때문이다. 또 얼마 전 사고원인이 조종과 관제의 실수로 밝혀진 KAL의 괌사고와 99년 들어 닷새간격으로 터진 일본과 한국의 핵사고도 현대기술을 운영하는데 아직 인간의 실수가 적절히 통제되지 못하고 있다는데 있다. 현대적인 기술을 이용하는 사업일수록 대형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늘 제기되곤 하.. 더보기 재생가능 에너지 시범사업의 방향 환경과 공해31호 1998년 8월호 재생가능 에너지 시범사업의 방향 이 수 경 (사무국장) 재생가능에너지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인가?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유례없이 높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개발은 각 국 및 각 자치단체별로 실천계획인 의제21이 작성되는 등 비교적 구체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어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데 반해,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해서는 아직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에서 크게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재생가능에너지가 이름에 걸맞은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천계획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첫 걸음으로 시범사업이 계획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즉 재생가능에너지가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이기 위해서는 재생가능에너지원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 더보기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6 다음